1515 Upper Limb - biceps, bones and ligaments
This 3D print shows the origin and insertion of biceps (most other arm and shoulder muscle bellies have been removed). The long head of biceps arises from the supraglenoid tubercle (hidden from view) and travels inferiorly in the bicipital groove, whereas the short head of biceps arises from the coracoid process. The bifid insertion of the muscle as the bicipital aponeurosis and the rounded tendon which can be seen winding around the radius to insert into the radial tuberosity are clearly discernable. At the shoulder region the dissected attachments of some muscles (subclavius, subscapularis, pectoralis major, teres minor, infraspinatus, long head of triceps) and the tendinous insertion of latissimus dorsi can be identified close to the ‘floor’ of the medial lip of the bicipital groove. The tendon of teres major lies on the medial lip of the groove and the pectoralis major tendon inserts into the lateral lip of the groove. The tendon of pectoralis minor arises from the coracoid process medial to the origin of the short head of biceps. Ligaments of the shoulder region such as the coracoclavicular, coracoacromial, coracohumeral are visible, as is the glenohumeral and acromioclavicular joint capsules. The supraspinatus muscle is the only rotator cuff muscle that has been completely preserved. The suprascapular ligament which bridges across the suprascapular notch is also evident on the superior border of the scapula.
At the elbow, the capsule of the joint including the annular ligament of the radius are exposed. The radial collateral ligaments are also just discernable. The ulnar collateral ligament is not visible as the two heads of flexor carpi ulnaris have been retained.
<번역>
이 3D 프린팅은 이두박근의 원점과 삽입을 보여줍니다(다른 팔과 어깨 근육의 대부분은 제거됨). 이두근의 긴 머리는 상완골결절(보이지 않음)에서 발생하며 이두근 홈에서 열등하게 이동하는 반면, 이두근의 짧은 머리는 코라코이드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이두근 아포네로시스로서의 근육의 분기 삽입과 요골 결절부에 삽입하기 위해 요골 주위에 감겨 있는 둥근 힘줄이 명확하게 식별된다. 어깨부위(상완하, 견갑하, 흉골주, 경골하, 삼두근의 긴 머리)의 절개된 부착물 및 경골의 근위 삽입물은 이두구 내측 입술의 '바닥' 부근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퇴골의 힘줄은 홈의 안쪽 입술에 있고 흉골의 큰 힘줄은 홈의 옆 입술에 삽입된다. 소흉막 힘줄은 이두근의 짧은 머리 안쪽에서 코라코이드 과정으로 발생한다. 견갑골, 견갑골, 견갑골, 견갑골 등의 어깨 영역의 인대가 보이고, 견갑골 관절 캡슐 및 견갑골 관절 캡슐이 보인다. 상완골근은 완전히 보존된 유일한 회전근육이다. 견갑골 상단을 가로지르는 견갑골 상층부 인대 또한 뚜렷하다.
팔꿈치에는 요골의 환상 인대를 포함한 관절의 캡슐이 노출되어 있다. 요골측부인대 또한 식별이 가능합니다. 척골 외측인대는 척골 굴곡의 두 머리가 고정되어 있어 보이지 않는다.